1. 치약, 마요네즈, 물 500ml,
분무기를 준비합니다.
2. 치약 약 2g, 마요네즈 약 8g,
물 500ml를 계량하여 준비합니다.
- 치약은 완두콩 두 알 정도
- 마요네즈는 숟가락으로 반 숟가락 정도
- 물은 500ml 생수통을 활용하시면 됩니다.
3. 분무기에 전부 넣고 마요네즈와 치약이
잘 녹을 수 있도록 흔들어 사용하시면 됩니다.
아무리 좋은 약도 자주 먹으면
탈이 나기 마련입니다.
너무 자주 쓰지 말고
3~5일 정도의 간격을 두고
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.
우리가 딸기를 좋아하는만큼
해충들도 좋아합니다.
소중한 딸기나무에 붙어서
영양을 빼앗아 갑니다.
때때로는 딸기나무 전체를 죽이기도,
딸기를 못 먹게 만들기도하기 때문에
많은 관심과 자세한 관찰을 필요로 합니다.
- 점박이 응애
고온건조한 환경에서 많이 발생합니다.
25℃일때, 알에서 성충까지 약 10일이 걸립니다.
생존환경은 20~28℃입니다.
주로 잎 뒷면에서 관찰됩니다.
개체 밀도 증가 시 잎 윗면에서도
쉽게 관찰이 가능해집니다.
또한 잎 전체에서 거미줄이 관찰됩니다.
잎 뒷면에 주로 서식하며
잎의 즙액을 흡즙하여 잎을 가해합니다.
가해 부위에 1mm 크기의
백색의 점무늬가 발생합니다.
피해가 심해지면 광합성양이 줄어들고
딸기의 품질을 망가트립니다.
- 차먼지 응애
크기가 0.1~0.2mm정도로
육안으로는 관찰이 어렵습니다.
25℃일때, 알에서 성충까지 약 7일이 걸립니다.
생존환경은 15~20℃에서 가장 잘 번식하며
25℃ 고온시기에 번식이 더뎌집니다.
생장점 부근에서 신엽과 꽃대에
피해를 입히며 생겨납니다.
잎이 기형으로 뒤로 말리며 전개되며
줄기는 갈색, 잎은 진한 녹색~흑색으로
변하며 광택이 나는 증상을 띕니다.
새로운 잎이 정상적으로 자라지 못해서
광합성양이 줄어들어 당분 축적량이
줄어들면 딸기의 맛이 떨어집니다.
지속적으로 피해를 받으면
딸기나무가 죽을 수도 있습니다.
- 유시충(날개가 있는 진딧물)
- 무시충(날개가 없는 흔히 보이는 진딧물)
유시충은 1.4mm, 무시충은 1.5mm로
기본적으로 녹황색, 흑록색
가을에는 갈색, 흑갈색을 띄기도 합니다.
잎(주로 뒷면), 줄기에 서식
성충과 약충이 잎 뒷면,
줄기에 집단으로 서식하여
즙액을 빨아먹어 가해하여 성장을 저해합니다.
개체 밀도가 높으면 잎 위에
끈적한 배설물(감로)을 남깁니다.
손으로 직접 잡아서 개체 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.
딸기에는 대만총채벌레, 꽃노랑총채벌레 등
여러 종류의 총채벌레가 발생합니다.
고온건조한 조건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
성충과 약충이 꽃에 많이 기생하면
꽃이 흑갈색으로 변색되어 수정되지 않습니다.
과피는 다갈색으로 변색되어 상품가치가 없어집니다.
잎 조직 내에 한개 씩 알을 낳고,
유충은 신엽, 꽃잎을 흡즙 후 번데기가 될때
땅에 떨어져 땅속, 낙엽속에서 번데기가 됩니다.
성충은 1.1~2.4mm 검은색을 띕니다.
유충은 몸길이 4mm정도 투명하게 생겼습니다.
25℃에 알 4일, 유충 14일, 번데기 4일
알에서 성충까지 약 21일이 걸립니다.
햇빛을 싫어하고,
수분이 많은 곳을 좋아하는 습성이 있으며
유충은 작물의 관부근처에 서식합니다.
유충이 잔뿌리를 씹어 먹고
굵은뿌리의 끝을 잘라 뿌리내부로
침입하여 식물에 피해를 줍니다.
뿌리발달 불량, 수분 및 영양이동 방해하여 생장이 저조해집니다.
시들음병 증상을 일으켜 결국에 고사합니다.
(병에 의한 피해와 유사하여 오해하기 쉽습니다.)
상처부위에 2차로 탄저병 감염위험이 있습니다.
주로 시설재배에서 포자가 공기전염되어 계속 발생합니다.
15~28℃에서 많이 발생됩니다.
잎, 줄기, 과실에 발생하는데
주로 잎에 발생률이 높습니다.
감염부위는 하얀 균총이 표면에 가루같이
부분적으로 나타납니다.
증상이 심하면 잎 전면에
밀가루를 뿌려놓은 것 같은 증상을 띕니다.
발병 시 어린딸기의 자라는 것이
더뎌지고 멈추게 되어
착과기 과실의 상품가치가 떨어집니다.
- 탄저, 역병
생육적온은 탄저 26~28℃, 역병 30℃전후로
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발생이 많습니다.
토양과 물에 의한 전염으로 병이 발생합니다.
- 탄저병 특징
관부, 잎자루, 런너에서 발생하며
감염된 식물체의 관부는 적갈색,
암갈색으로 변하여 썩고
진전되면 관부의 내부까지 썩어들어갑니다.
감염된 쪽의 잎부터 말라죽고
심하면 그루 전체가 말라죽습니다.
- 역병 특징
잎이 물에 데친듯한 증상이 나타나고
병이 진전되면 잎이 고사합니다.
뿌리, 도관사이 갈변이 진행되고
도관에 구멍이 생깁니다.
- 시들음병
영양번식 중 감염주로부터(전세대의 개체) 런너를 통해 전염되거나
뿌리를 통해서 침입하는 토양전염성병해입니다.
고온(27~28℃)에서 발병이 많습니다.
- 시들음병 특징
신엽이 작아지면서 3개의 작은 잎 중 1~2개의
잎이 작아지는 짝잎증상을 보입니다.
심할경우 아래잎부터 시들기 시작하다가 그대로 말라죽습니다.
엽병이 관부로부터 줄기가 빨갛게 타고 올라가는 증상이 있다.
병에 걸린 것 같다면
어떻게 살릴 방법이 없습니다.
새로운 딸기나무를 만나는 편이……